반응형
2024년 12월 국제수지 및 연간 국제수지 잠정 편제 결과
목차
1. 12월 국제수지 개요
2024년 12월 국제수지는 123억 7천만 달러 흑자를 기록했다.
- 상품 수지: 104억 3천만 달러 흑자
- 본원소득 수지: 47억 6천만 달러 흑자
- 서비스 수지: 21억 1천만 달러 적자
특히 상품 수지는 IT(반도체, 정보통신 기기) 수출 증가와 자동차·화학제품의 감소세 둔화에 기인해 확대되었다.
2. 세부 항목 분석
상품 수지
- 수출: 반도체 및 IT 품목 중심으로 증가세 유지
- 수입: 에너지 가격 하락으로 원자재 수입 감소
- 반도체 장비·소재 수입 증가로 인해 총 수입액 증가
서비스 수지
- 여행 수지: 출국자 증가로 적자 확대
- 지식재산권 사용료: 국내 기업의 수입 감소로 적자폭 확대
본원소득 수지
- 증권 배당 수입 증가로 흑자폭 확대
3. 금융 계정 동향
12월 금융 계정 순자산은 93억 8천만 달러 증가했다.
- 직접투자: 내국인 해외 직접투자 69억 5천만 달러 증가
- 외국인 국내 직접투자: 12억 3천만 달러 증가
- 증권투자: 내국인 해외 증권 투자 8억 6천만 달러 증가
- 외국인 국내 증권 투자: 주식 중심으로 38억 달러 감소
4. 2024년 연간 국제수지
2024년 연간 경상수지는 990억 4천만 달러 흑자로 전년 대비 크게 확대되었다.
- 상품 수지: 1,113억 달러 흑자
- 반도체·SSD·AI 관련 IT 품목 수출 증가
- 해외 생산 수출 회복
- 서비스 수지: 237억 달러 적자
- 운송 수지 흑자폭 확대
- 본원소득 수지: 266억 2천만 달러 흑자
금융 계정 순자산은 952억 1천만 달러 증가했다.
5. 경상수지 전망
2025년 경상수지 전망
- 2024년 11월 조사국 전망치(900억 달러)보다 상회
- 2025년 예상 흑자 규모는 800억 달러
- 수출 전망: IT(반도체) 중심으로 증가세 유지 예상
- 수입 전망: 원자재 가격 안정으로 원자재 수입 증가세 둔화
변수
- 트럼프 행정부 통상정책: 미국 보호무역 정책 강화 가능성
- 반도체 시장 동향: AI 투자 증가 및 중국 규제 영향
- 유가 변동성: 유가 상승 지속 여부
6. 질의응답 주요 내용
1월 경상수지 전망
- 무역수지가 적자로 전환되었으나 본원소득 수지가 견조하여 흑자 유지 가능성
- 다만, 흑자폭은 크게 축소될 전망
2025년 수출 전망
- 15개월 연속 증가로 인해 기술적 증가율 둔화 예상
- 반도체·IT 부문: 고사양 반도체 중심으로 견조한 흐름 유지
트럼프 신정부 정책 영향
- 미중 무역 분쟁 심화 가능성
- 한국의 미국산 에너지 수입 증가 가능성
- 통상 압력 증가로 경상수지 변동성 확대
차이 및 조정 요소
- 경상수지와 금융계정 간 차이: 연말 수출 증가로 시차 발생
- GDP 성장률 조정 가능성: 12월 산업생산 증가로 4분기 GDP 상향 가능
3줄 요약
- 2024년 12월 경상수지는 123억 7천만 달러 흑자로 역대 3위 규모를 기록했다.
- 반도체·IT 수출 증가와 배당수입 확대가 주요 원인이다.
- 2025년 경상수지는 800억 달러 흑자 예상되나, 트럼프 행정부의 통상정책이 변수다.
반응형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블랙핑크의 해외 공연 수익은 한국 GDP에 포함될까? (0) | 2025.02.22 |
---|---|
BOK카데미|암표 거래 속에 숨겨진 경제| (0) | 2025.02.21 |
AI 시대의 끝? 헬스케어와 소비재가 주목받는 이유 (0) | 2025.02.20 |
관세전쟁 - 펜타닐과 관세: 마약과 무역전쟁, 그리고 중국의 책임 (0) | 2025.02.20 |
한국은행:2024년 4/4분기 및 연간 실질 국내총생산(속보) 기자설명회 (0) | 2025.02.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