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

2024년 12월 국제수지(잠정)

by Diorson 2025. 2. 20.
반응형

 

 

2024년 12월 국제수지 및 연간 국제수지 잠정 편제 결과

목차

  1. 12 국제수지 개요
  2. 세부 항목 분석
  3. 금융 계정 동향
  4. 2024 연간 국제수지
  5. 경상수지 전망
  6. 질의응답 주요 내용

1. 12월 국제수지 개요 

2024년 12월 국제수지는 123억 7천만 달러 흑자를 기록했다.

  • 상품 수지: 104억 3천만 달러 흑자
  • 본원소득 수지: 47억 6천만 달러 흑자
  • 서비스 수지: 21억 1천만 달러 적자

특히 상품 수지는 IT(반도체, 정보통신 기기) 수출 증가와 자동차·화학제품의 감소세 둔화에 기인해 확대되었다.


2. 세부 항목 분석 

상품 수지

  • 수출: 반도체 및 IT 품목 중심으로 증가세 유지
  • 수입: 에너지 가격 하락으로 원자재 수입 감소
  • 반도체 장비·소재 수입 증가로 인해 총 수입액 증가

서비스 수지

  • 여행 수지: 출국자 증가로 적자 확대
  • 지식재산권 사용료: 국내 기업의 수입 감소로 적자폭 확대

본원소득 수지

  • 증권 배당 수입 증가로 흑자폭 확대

3. 금융 계정 동향 

12월 금융 계정 순자산은 93억 8천만 달러 증가했다.

  • 직접투자: 내국인 해외 직접투자 69억 5천만 달러 증가
  • 외국인 국내 직접투자: 12억 3천만 달러 증가
  • 증권투자: 내국인 해외 증권 투자 8억 6천만 달러 증가
  • 외국인 국내 증권 투자: 주식 중심으로 38억 달러 감소

4. 2024년 연간 국제수지 

2024년 연간 경상수지는 990억 4천만 달러 흑자로 전년 대비 크게 확대되었다.

  • 상품 수지: 1,113억 달러 흑자
    • 반도체·SSD·AI 관련 IT 품목 수출 증가
    • 해외 생산 수출 회복
  • 서비스 수지: 237억 달러 적자
    • 운송 수지 흑자폭 확대
  • 본원소득 수지: 266억 2천만 달러 흑자

금융 계정 순자산은 952억 1천만 달러 증가했다.


5. 경상수지 전망 

2025년 경상수지 전망

  • 2024년 11월 조사국 전망치(900억 달러)보다 상회
  • 2025년 예상 흑자 규모는 800억 달러
  • 수출 전망: IT(반도체) 중심으로 증가세 유지 예상
  • 수입 전망: 원자재 가격 안정으로 원자재 수입 증가세 둔화

변수

  • 트럼프 행정부 통상정책: 미국 보호무역 정책 강화 가능성
  • 반도체 시장 동향: AI 투자 증가 및 중국 규제 영향
  • 유가 변동성: 유가 상승 지속 여부

6. 질의응답 주요 내용 

1월 경상수지 전망

  • 무역수지가 적자로 전환되었으나 본원소득 수지가 견조하여 흑자 유지 가능성
  • 다만, 흑자폭은 크게 축소될 전망

2025년 수출 전망

  • 15개월 연속 증가로 인해 기술적 증가율 둔화 예상
  • 반도체·IT 부문: 고사양 반도체 중심으로 견조한 흐름 유지

트럼프 신정부 정책 영향

  • 미중 무역 분쟁 심화 가능성
  • 한국의 미국산 에너지 수입 증가 가능성
  • 통상 압력 증가로 경상수지 변동성 확대

차이 및 조정 요소

  • 경상수지와 금융계정 간 차이: 연말 수출 증가로 시차 발생
  • GDP 성장률 조정 가능성: 12월 산업생산 증가로 4분기 GDP 상향 가능

3줄 요약

  1. 2024년 12월 경상수지는 123억 7천만 달러 흑자로 역대 3위 규모를 기록했다.
  2. 반도체·IT 수출 증가와 배당수입 확대가 주요 원인이다.
  3. 2025년 경상수지는 800억 달러 흑자 예상되나, 트럼프 행정부의 통상정책이 변수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