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

한국은행:2024년 4/4분기 및 연간 실질 국내총생산(속보) 기자설명회

by Diorson 2025. 2. 19.
반응형

2024년 4/4분기 및 연간 실질 국내총생산(GDP) 분석

 

목차

  1. 2024년 4/4분기 실질 GDP 개요
  2. 지출 항목별 분석
  3. 경제활동별 분석
  4. 실질 GDI 분석
  5. 2024년 연간 GDP 성장률 및 주요 특징
  6. 2025년 경제 전망 및 주요 변수
  7. 결론 및 시사점

1. 2024년 4/4분기 실질 GDP 개요

2024년 4/4분기 실질 국내총생산(GDP)은 전기 대비 0.1%, 전년 동기 대비 1.2% 성장하였다.

  • 수출이 반등하며 순수출 기여도가 증가했으나, 민간소비와 건설투자 부진으로 내수 성장 기여도는 축소됨.
  • 전분기 대비 성장률이 11월 전망치(0.5%)보다 낮은 0.1%를 기록하면서 경기 둔화 우려가 제기됨.

2. 지출 항목별 분석

2.1 민간소비

민간소비는 0.2% 증가하였으며, 의류 및 서비스 소비가 주요 증가 요인이다.

  • 정치 불확실성 확대로 소비 심리가 위축되면서 예상보다 낮은 증가율을 기록.
  • 3/4분기에는 자동차와 휴대폰 신제품 출시로 소비가 증가했으나, 4/4분기에는 해당 효과가 사라지면서 둔화.

2.2 정부소비

정부소비는 건강보험 급여비 증가를 중심으로 0.5% 증가하였다.

2.3 건설투자

건설투자는 3.2% 감소하며 경기 부진을 지속했다.

  • 건물 건설 및 토목 건설 모두 부진.
  • 건설 수주 및 착공 지연, 공사 원가 상승, 분양시장 위축이 주요 원인.

2.4 설비투자

설비투자는 기계를 중심으로 1.6% 증가하였다.

  • 반도체 제조 장비 투자는 증가했으나, 항공기 도입이 지연되며 전체 증가폭은 둔화됨.

2.5 수출입 동향

  • 수출: 반도체 및 IT 품목을 중심으로 0.3% 증가
  • 수입: 자동차 및 원유 수입 감소로 0.1% 감소

3. 경제활동별 분석

3.1 농림어업

농림어업은 재배업 부진으로 3.9% 감소

3.2 제조업

제조업은 0.1% 증가하며 성장 둔화.

  • 금속가공제품 감소
  • 화학제품, 컴퓨터·전자 및 광학기기 증가

3.3 서비스업

서비스업은 0.3% 증가

  • 금융 및 보험업, 의료·보건 및 사회복지 서비스업 증가
  • 도소매 및 숙박음식업 감소

4. 실질 GDI 분석

  • 실질 국내총소득(GDI)은 0.6% 증가
  • 교역조건 개선으로 GDP 성장률을 초과하는 증가율 기록

5. 2024년 연간 GDP 성장률 및 주요 특징

  • 연간 GDP 성장률: 2.0%
  • 수출 및 설비투자가 성장 견인, 민간소비와 건설투자 부진 지속
  • 순수출 기여도 확대 (전년 0.0% → 1.8%)

6. 2025년 경제 전망 및 주요 변수

  • 미국 신정부 출범 후 통상정책 변화 영향
  • 정치 불확실성 지속 여부
  • 건설 경기 부진 및 소비 심리 위축
  • 반도체 및 IT 산업 회복 여부

7. 결론 및 시사점

  • 4/4분기 성장률 둔화로 경기 회복에 대한 우려 확대
  • 2025년 상반기까지 건설투자 부진 지속 예상
  • 정부의 경기 부양 대책이 주요 변수로 작용할 전망

3줄 요약

  1. 2024년 4/4분기 GDP 성장률은 전기 대비 0.1%, 연간 GDP 성장률은 2.0% 기록.
  2. 수출과 설비투자가 성장 견인, 그러나 민간소비 및 건설투자 부진 지속.
  3. 정치 불확실성, 건설 경기 침체, 미국 신정부 정책 변화 등이 향후 경제 성장 변수로 작용할 전망.

추천 해시태그

#경제성장 #GDP분석 #경제전망 #수출입동향 #건설경기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