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2024년 4/4분기 및 연간 실질 국내총생산(GDP) 분석
목차
- 2024년 4/4분기 실질 GDP 개요
- 지출 항목별 분석
- 경제활동별 분석
- 실질 GDI 분석
- 2024년 연간 GDP 성장률 및 주요 특징
- 2025년 경제 전망 및 주요 변수
- 결론 및 시사점
1. 2024년 4/4분기 실질 GDP 개요
2024년 4/4분기 실질 국내총생산(GDP)은 전기 대비 0.1%, 전년 동기 대비 1.2% 성장하였다.
- 수출이 반등하며 순수출 기여도가 증가했으나, 민간소비와 건설투자 부진으로 내수 성장 기여도는 축소됨.
- 전분기 대비 성장률이 11월 전망치(0.5%)보다 낮은 0.1%를 기록하면서 경기 둔화 우려가 제기됨.
2. 지출 항목별 분석
2.1 민간소비
민간소비는 0.2% 증가하였으며, 의류 및 서비스 소비가 주요 증가 요인이다.
- 정치 불확실성 확대로 소비 심리가 위축되면서 예상보다 낮은 증가율을 기록.
- 3/4분기에는 자동차와 휴대폰 신제품 출시로 소비가 증가했으나, 4/4분기에는 해당 효과가 사라지면서 둔화.
2.2 정부소비
정부소비는 건강보험 급여비 증가를 중심으로 0.5% 증가하였다.
2.3 건설투자
건설투자는 3.2% 감소하며 경기 부진을 지속했다.
- 건물 건설 및 토목 건설 모두 부진.
- 건설 수주 및 착공 지연, 공사 원가 상승, 분양시장 위축이 주요 원인.
2.4 설비투자
설비투자는 기계를 중심으로 1.6% 증가하였다.
- 반도체 제조 장비 투자는 증가했으나, 항공기 도입이 지연되며 전체 증가폭은 둔화됨.
2.5 수출입 동향
- 수출: 반도체 및 IT 품목을 중심으로 0.3% 증가
- 수입: 자동차 및 원유 수입 감소로 0.1% 감소
3. 경제활동별 분석
3.1 농림어업
농림어업은 재배업 부진으로 3.9% 감소
3.2 제조업
제조업은 0.1% 증가하며 성장 둔화.
- 금속가공제품 감소
- 화학제품, 컴퓨터·전자 및 광학기기 증가
3.3 서비스업
서비스업은 0.3% 증가
- 금융 및 보험업, 의료·보건 및 사회복지 서비스업 증가
- 도소매 및 숙박음식업 감소
4. 실질 GDI 분석
- 실질 국내총소득(GDI)은 0.6% 증가
- 교역조건 개선으로 GDP 성장률을 초과하는 증가율 기록
5. 2024년 연간 GDP 성장률 및 주요 특징
- 연간 GDP 성장률: 2.0%
- 수출 및 설비투자가 성장 견인, 민간소비와 건설투자 부진 지속
- 순수출 기여도 확대 (전년 0.0% → 1.8%)
6. 2025년 경제 전망 및 주요 변수
- 미국 신정부 출범 후 통상정책 변화 영향
- 정치 불확실성 지속 여부
- 건설 경기 부진 및 소비 심리 위축
- 반도체 및 IT 산업 회복 여부
7. 결론 및 시사점
- 4/4분기 성장률 둔화로 경기 회복에 대한 우려 확대
- 2025년 상반기까지 건설투자 부진 지속 예상
- 정부의 경기 부양 대책이 주요 변수로 작용할 전망
3줄 요약
- 2024년 4/4분기 GDP 성장률은 전기 대비 0.1%, 연간 GDP 성장률은 2.0% 기록.
- 수출과 설비투자가 성장 견인, 그러나 민간소비 및 건설투자 부진 지속.
- 정치 불확실성, 건설 경기 침체, 미국 신정부 정책 변화 등이 향후 경제 성장 변수로 작용할 전망.
추천 해시태그
#경제성장 #GDP분석 #경제전망 #수출입동향 #건설경기
반응형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AI 시대의 끝? 헬스케어와 소비재가 주목받는 이유 (0) | 2025.02.20 |
---|---|
관세전쟁 - 펜타닐과 관세: 마약과 무역전쟁, 그리고 중국의 책임 (0) | 2025.02.20 |
2024년 11월 국제수지(잠정) 기자설명회 (0) | 2025.02.18 |
BOK카데미|경제학파를 알면 경제가 더 쉽다 (0) | 2025.02.17 |
BOK카데미|경제학파 (0) | 2025.02.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