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

2024년 11월 국제수지(잠정) 기자설명회

by Diorson 2025. 2. 18.


2024년 11월 국제수지 분석: 93억 달러 흑자 기록

 

목차

  1. 2024년 11월 국제수지 개요
  2. 경상수지 세부 항목 분석
  3. 금융계정 분석
  4. 12월 전망 및 주요 변수
  5. 결론 및 시사점

 

1. 2024년 11월 국제수지 개요

2024년 11월 국제수지는 93억 달러 흑자를 기록하였다. 주요 항목별로 보면 상품수지는 97억 5천만 달러 흑자, 본원소득수지는 19억 4천만 달러 흑자를 나타냈으며, 서비스수지는 20억 9천만 달러 적자를 기록하였다.

2. 경상수지 세부 항목 분석

2.1 상품수지

상품수지는 97억 5천만 달러 흑자를 기록하였으며, 이는 수출 증가세 둔화에도 불구하고 수입 감소 폭이 확대되면서 흑자 폭이 증가한 결과이다.

  • 수출: 반도체 등의 IT 품목 수출이 지속되었으나, 석유제품과 승용차 등의 수출이 감소하면서 전체적인 증가율은 둔화됨.
  • 수입: 반도체 제조 장비 및 소재 등 자본재 수입은 증가했으나, 에너지 가격 하락으로 원자재 수입이 감소하고 소비재 수입도 줄어드는 양상을 보임.

2.2 서비스수지

서비스수지는 20억 9천만 달러 적자를 기록하였으며, 특히 여행수지가 악화되면서 전체 적자 폭이 확대되었다.

  • 여행수지: 중국 국경절 연휴 효과가 사라지면서 중국인 관광객 입국이 감소하여 적자 폭이 커짐.
  • 지식재산권 사용료 수지: 국내 기업이 해외 자회사로부터 받은 상표권 및 영업권 사용료 대금 증가로 적자 폭이 축소됨.

2.3 본원소득수지

본원소득수지는 19억 4천만 달러 흑자를 기록하였으나, 증권투자의 분기 배당 지급으로 인해 전월 대비 흑자 폭이 축소되었다.

2.4 이전소득수지

이전소득수지는 3억 달러 적자를 기록하였다.

3. 금융계정 분석

11월 금융계정 순자산은 97억 6천만 달러 증가하였다.

  • 직접투자: 내국인의 해외 직접 투자가 28억 4천만 달러 증가한 반면, 외국인의 국내 직접 투자는 100만 달러 감소.
  • 증권투자: 내국인의 해외 증권투자는 채권 중심으로 3억 9천만 달러 증가하였으며, 외국인의 국내 증권투자는 주식을 중심으로 21억 2천만 달러 감소.
  • 파생금융상품: 15억 9천만 달러 증가.
  • 기타투자: 자산이 기타 자산을 중심으로 37억 5천만 달러 감소하였으며, 부채는 49억 7천만 달러 감소.
  • 준비자산: 15억 8천만 달러 증가.

4. 12월 전망 및 주요 변수

12월 경상수지는 상품수지를 중심으로 상당한 흑자가 예상된다.

  • 상품수지: 12월 무역수지가 11월보다 개선될 것으로 보여, 상품수지는 양호한 수준을 유지할 전망.
  • 여행수지: 연말과 겨울방학 시즌으로 출국자 수가 증가하면서 적자 폭이 확대될 가능성 있음.
  • 환율 영향: 환율 상승이 수출 증가에 미치는 영향이 점차 약화되는 추세로, 글로벌 경기와 보호무역 기조가 더 중요한 변수로 작용할 전망.
  • 트럼프 행정부 출범 영향: 보호무역 기조 강화로 인해 중간재 수출 감소 및 본원소득수지 축소 가능성이 존재함.

5. 결론 및 시사점

11월 국제수지는 전반적으로 안정적인 흑자 기조를 유지했으며, 상품수지 호조가 이를 견인하였다. 그러나 서비스수지 적자 지속과 환율 변동성, 보호무역 기조 강화 등의 변수가 존재하여 향후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필요하다.

3줄 요약

  1. 2024년 11월 경상수지는 93억 달러 흑자를 기록하며 양호한 흐름을 유지.
  2. 상품수지 흑자 확대가 주요 원인이며, 서비스수지 적자는 여행수지 악화로 심화됨.
  3. 12월에도 상품수지를 중심으로 흑자 지속 예상되나, 보호무역 기조와 환율 변동성이 변수로 작용할 전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