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좁은회랑 #대런애쓰모글루 #제임스A로빈슨

diorson 2024. 12. 11. 17:50

‘좁은 회랑’을 펼쳤을 때 가장 먼저 든 생각은 “이 책, 과연 끝까지 읽을 수 있을까?” 하는 두려움이었다. 이전에 읽었던 **‘국가의 실패’**에서 작가들이 펼쳤던 방대한 분석과 논리적 전개를 기억하고 있었기에, 이번 책이 그보다 더 깊고 넓은 주제를 다룬다는 점에서 부담감이 앞섰다. 그리고 솔직히 말해, 읽는 내내 이런 생각이 떠나지 않았다. "내가 이해력이 부족한 걸까, 아니면 이 책이 너무 복잡한 걸까?"

하지만 책장을 넘길수록 느껴지는 것은, 이들의 메시지가 단순히 어렵기만 한 것이 아니라, 인간 사회의 근본적인 질문과 그 답을 탐구하려는 강렬한 의지라는 점이었다. 이 책은 단순히 읽고 끝낼 책이 아니라, 읽고 곱씹고 다시 돌아보며 이해를 쌓아가야 하는 책이었다.


좁은 회랑: 자유와 권력의 경계

책의 핵심은 사회가 ‘좁은 회랑’에 머물러야만 안정적인 발전을 이룰 수 있다는 주장이다. 이 회랑은 무정부 상태과도한 권위주의 사이의 아슬아슬한 균형을 상징한다. 너무 약한 국가도 문제지만, 너무 강한 국가 역시 개인의 자유를 억압한다는 것이다. 이 균형은 단순히 정해진 상태가 아니라, 지속적으로 유지하고 발전시켜야 하는 동적인 과정임을 강조한다.

책은 리바이어던(강력한 국가)과 레드퀸 효과(경쟁을 통한 끊임없는 변화)를 중심으로 여러 역사적 사례를 제시하며, 이 균형의 중요성을 설명한다.


인상 깊었던 사례와 문장들

  1. 리바이어던: 홉스와 국가의 필요성
    홉스는 강력한 국가를 바다 괴물 리바이어던으로 비유하며, 무정부 상태를 벗어나기 위해 국가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그러나 이 책에서는 **‘독재적 리바이어던’**의 위험성도 경고한다.강력한 국가가 신뢰를 바탕으로 작동하지 않으면, 그 국가는 결국 시민의 자유를 억압하게 된다.
  2. "국가는 사람들이 정직하게 재산을 신고하리라고 믿을 수 있어야 하며, 사람들은 정보를 공유하기 위해 목숨을 걸어도 좋을 만큼 국가기관들을 신뢰할 수 있어야 한다."
  3. 자유와 비지배의 개념
    로크와 페팃의 자유 개념이 매우 흥미로웠다. 자유는 단순히 선택의 자유가 아니라, 그 선택을 실행할 수 있는 능력까지 포함한다는 것이다.이는 오늘날 우리가 생각하는 ‘민주주의’의 본질을 다시금 돌아보게 만든다.
  4. “자유란 단지 추상적인 권리가 아니라, 그것을 현실에서 실행할 수 있는 상태를 의미한다.”
  5. 사례 연구: 중국과 인도의 교훈
  • 중국의 부패: 부유한 이들이 공산당 내부에 자리 잡고, 국민들이 이를 견제하지 못하는 현실은 독재적 리바이어던의 전형적인 예다.
  • 인도의 카스트 제도: 계급에 의해 억압된 자유는 개인의 발전뿐만 아니라 사회의 발전을 가로막는다.

이 두 사례는, 국가는 강력해야 하지만 동시에 시민의 권리와 참여가 보장되지 않으면 결국 사회가 무너진다는 점을 보여준다.


책이 던지는 질문과 오늘날의 의미

책은 과거와 현재를 오가며, 우리에게 묵직한 질문을 던진다.

  • 왜 어떤 나라는 발전하고, 어떤 나라는 퇴보하는가?
  • 자유와 권력의 균형은 어떻게 지속적으로 유지될 수 있는가?
  • 현대 사회에서 과거의 실패를 되풀이하지 않기 위해 우리는 무엇을 해야 할까?

특히 현대 사회의 극단적 양극화와 민주주의의 위기 상황에서, 책이 제시하는 경고는 더욱 크게 다가왔다. 나치 독일의 사례나 우경화된 사회의 위험성을 다룬 부분은 현재 글로벌 정치 상황에서도 여전히 유효하다.


읽고 느낀 점

‘좁은 회랑’은 단순히 역사를 배우는 책이 아니다. 이 책은 우리가 현재 사는 사회를 이해하고, 앞으로 나아가기 위해 필요한 통찰을 제공한다. 물론, 쉽고 빠르게 읽히는 책은 아니었지만, 읽을수록 삶과 사회에 대한 시야를 넓혀주는 책이었다.

책을 덮으며 이런 생각이 들었다. "나의 작은 일상에서 시작되는 자유와 책임이 결국 사회 전체로 이어질 수 있다면, 그것이야말로 좁은 회랑으로 가는 첫걸음이 아닐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