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우리 집에 왜 왔어? – 정해연 작가의 단편 소설 리뷰

by Diorson 2025. 3. 11.
반응형

우리 집에 왜 왔어? – 정해연 작가의 단편 소설 리뷰

  • 정해연 작가의 『우리 집에 왜 왔어?』는 일상적이지만 전혀 일상적이지 않고 평범해 보이지만 아주 뒤틀려 있는 개개인의 삶 이야기 이다.

책을 읽게 된 동기

최근 읽었던 책이 기대에 미치지 못해 얼른 다른 책으로 ‘정화’하고 싶은 마음이 컸다. 한국 소설가들의 단편이 주는 묘한 매력을 좋아하는 편이라, 새로운 단편 소설을 찾던 중 리디북스 MD 추천에 이끌려 정해연 작가의 『우리 집에 왜 왔어?』를 펼치게 되었다.

책을 읽기 전까지만 해도 가볍게 읽을 수 있는 단편집이라고 생각했지만, 막상 읽어보니 평범한 가족의 이야기 속에 스며든 묘한 불편함과 뒤틀린 인간관계가 압도적인 몰입감을 선사했다. 그리고 책의 마지막 문장인 **"돌아갈 시간이었다. 우리의 완벽한 집으로."**는 3개의 단편을 하나로 엮어주며, 긴 여운을 남겼다.


책 소개 – 가족이라는 이름의 이면

『우리 집에 왜 왔어?』는 총 3개의 단편으로 구성된 소설집이다. 표면적으로는 평범해 보이는 가족의 이야기를 다루지만, 작품이 전개될수록 점점 낯설고 기이한 감정이 피어오른다.

정해연 작가는 우리가 익숙하게 알고 있는 ‘가족’이라는 개념을 뒤틀어, 그 안에 숨겨진 욕망과 집착을 날카롭게 파고든다. 우리가 ‘정상적인 가족’이라고 믿고 있는 모습이 실상은 얼마나 위태로운 균형 속에 유지되고 있는지, 그리고 그 균형이 무너질 때 어떤 일이 벌어지는지를 보여준다.

  • 「반려, 너」 – 완벽한 연인을 찾고 싶어 노력하는 청년이 겪는 기묘한 사건
  • 「준구」 – 가족을 위해 희생하는 1980년대 가장이 점점 몰락해가는 이야기
  • 「살」 – 딸을 살리기 위해 무엇이든 할 수 있는 어머니의 광기

세 단편 모두 가족에 대한 애정과 집착, 그리고 그것이 만들어내는 파국을 그리고 있으며, 현실적이면서도 극단적인 상황 설정이 인상적이다.


흥미로운 문장과 인상적인 장면

책 속에는 강렬한 문장과 장면이 많았는데, 몇 가지를 꼽아보았다.

📌 「반려, 너」 – 집착과 사랑의 경계

“정인 씨의 회사 위치를 어떻게 알았냐고? 나는 그녀가 이별을 통보하기 전에 이미 그곳을 알고 있었어.”
“뒤를 밟았다니. 서프라이즈 선물을 위해 알아둔 거라고.”

이 부분은 스토킹과 사랑의 경계를 묘하게 흐리는 문장이다. 상대방에게는 ‘서프라이즈’일 수 있지만, 그 행동이 점점 도를 지나쳐 공포가 되어가는 과정이 섬뜩하다.

📌 「준구」 – 책임감이라는 이름의 무게

“아내와의 대화가 준구의 즐거움이라면, 딸은 힘의 원천이었다. 늘 늦게 퇴근하는 바람에 볼 수 있는 건 자는 얼굴뿐이었지만.”

가장의 역할을 충실히 수행하려 애쓰는 준구의 모습은 안타깝기도 하고, 현실적이기도 하다. 하지만 이 책임감이 결국 파국으로 향하는 단초가 된다는 점에서, 가족을 위한 희생이 언제나 옳은 것인가에 대한 질문을 던진다.

📌 「살」 – 광기의 절정

“우리 엄마는 자신을 죽임으로써 나를 잃었어. 자식을 놓고 떠나는 마음이 얼마나 아팠을까…. 당신도 자식 잃는 고통을 알아야 해.”

부모의 사랑은 순수하지만, 때로는 광기로 변할 수도 있다. 자식을 위해 모든 것을 희생하는 것이 정말 옳은 일일까? 이 장면은 부모라는 존재가 가질 수 있는 양면성을 극단적으로 보여준다.


『우리 집에 왜 왔어?』를 읽고 난 후 – 가족이란 무엇인가?

책을 덮은 후에도 이 작품이 던지는 질문이 머릿속을 맴돌았다. 가족이란 무엇일까? 우리는 가족이라는 이름 아래 얼마나 많은 것을 감내하고 있는 걸까?

책 속 등장인물들은 가족을 위해 최선을 다하지만, 그들의 선택은 점점 예상할 수 없는 방향으로 흘러간다. 때로는 사랑이 집착이 되고, 보호가 억압이 되며, 희생이 광기로 변하기도 한다. 그리고 그 과정에서 독자는 공포와 불편함을 느끼게 된다.

무엇보다도 마지막 문장, **“돌아갈 시간이었다. 우리의 완벽한 집으로.”**는 강한 여운을 남긴다. 정말 완벽한 집이란 존재할까? 아니면 그저 우리가 그렇게 믿고 싶어 하는 허상일 뿐일까?


결론 – 일상의 틈에서 피어나는 미스터리

『우리 집에 왜 왔어?』는 단순한 스릴러가 아니다. 이 책은 우리가 ‘정상적’이라고 믿고 있는 것들이 얼마나 쉽게 깨질 수 있는지를 보여준다. 일상의 틈 속에서 피어나는 공포, 그리고 익숙한 것들이 낯설어지는 순간이 주는 긴장감이 일품이다.

평범한 일상 속에서 시작해 점점 낯설고 기이한 감정으로 독자를 끌고 가는 정해연 작가의 필력은 역시나 인상적이었다. 앞으로도 그녀의 작품을 계속 찾아 읽게 될 것 같다.


3줄 요약

  1. 『우리 집에 왜 왔어?』는 평범해 보이는 가족의 이면을 파헤친 미스터리 단편집이다.
  2. 가족이라는 이름 아래 벌어지는 광기, 집착, 희생의 경계를 절묘하게 그려냈다.
  3. 마지막 문장 “돌아갈 시간이었다. 우리의 완벽한 집으로.”가 깊은 여운을 남긴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