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The Giver - Loislowry

by Diorson 2024. 12. 24.
반응형

거의 반년 동안 붙잡고 있던 책, ‘The Giver’.
책장에 펴놓고 한두 페이지 읽다 다른 책으로 도망가고, 다시 돌아와 한두 페이지 읽기를 반복하다가 결국 아마존 결제 문구에 정신이 번쩍 들어 완독하게 된 책이다.

완벽해 보이지만 무채색 같은 세계, 고통과 혼란이 제거된 대신 개성과 선택이 사라진 공동체. 그 속에서 **“기억 전달자”**로 선택된 주인공이 모든 것을 깨닫고 마침내 통제된 사회를 벗어나려 한다는 이야기.


기억과 자유: 행복을 위한 필수조건일까?

책을 덮고 나서 가장 먼저 떠오른 질문은 이거였다.
“기억이 없는 삶은 더 나은 삶일까?”

책 속의 세계는 기억이 없기 때문에 고통도, 불행도 없다. 그러나 그로 인해 사람들은 선택할 줄 모르고, 개성이라는 개념도 사라졌다. 모든 것이 평등하고 질서정연하지만, 동시에 그것은 **‘자유 없는 지옥’**이었다.


기억의 역설

작가는 이 책을 통해 기억의 양면성을 보여준다.

  • 기억은 아픔과 고통을 동반한다.
  • 하지만 동시에 기쁨과 아름다움을 되새길 수 있는 힘이 된다.

주인공이 전달받은 기억에는 눈부신 기쁨도 있었지만, 고통과 슬픔도 있었다. 그리고 그 모든 것이 **“진짜 인간다운 삶”**을 의미했다.


나의 기억, 나의 현실

읽는 동안 나도 내 기억을 돌아보게 되었다.
“내 기억 속의 나는 더 행복했고, 가능성이 넘쳤던 사람이었다.”
하지만 현실은 그와 다르다. 타임머신을 타고 미래에 와보니 나는 그때 꿈꿨던 모습과는 거리가 멀고, 평범하기도 힘든 삶을 살고 있다.

그렇기에 때로는 기억을 **“이터널 선샤인”**처럼 지워버리고 싶기도 하다. 기억이 없으면 과거와 나를 비교할 일도, 후회할 일도 없을 테니까. 하지만 그렇게 모든 기억을 없애버리면 정말 더 행복해질까?


자유와 기억: 시스템의 지배와 나의 현실

책에서 기억이 없다는 것은 곧 개성이 없다는 것이고, 개성이 없다는 것은 자유의지가 사라진 상태다. 그것은 마치 주권과 자유를 잃은 식민시대의 국민과 다를 바 없다.

그리고 문득 깨달았다.
“나 역시 외교권과 주권을 대가로 월급을 받는 삶을 살고 있다.”
현대 사회에서 시스템에 지배당하며 살아가는 우리의 모습은, 어쩌면 책 속의 공동체와 크게 다르지 않을지도 모른다.

모든 것이 통제되고 편리하지만, 그 속에서 자유를 잃어버린 삶. **‘The Giver’**는 그런 삶의 실체를 보여주며 우리에게 묻는다.
“당신은 어떤 삶을 살 것인가?”


결론: 불완전함 속의 자유

책 속 세계는 완벽해 보이지만 그것은 진정한 완벽이 아니었다.
기억과 자유를 빼앗긴 채 통제된 삶은 편리하지만, 그 속에는 **“진짜 삶”**이 없었다.

  • 기억이 있기에 우리는 아픔을 겪지만, 그 기억 덕분에 기쁨과 사랑도 느낄 수 있다.
  • 자유가 있기에 선택의 무게를 짊어져야 하지만, 그 선택이 우리를 인간답게 만든다.

결국, 불완전한 기억과 자유가 있는 현실이 더 인간다운 삶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The life where nothing was ever unexpected, or inconvenient, or unusual.”
이 문장처럼 모든 것이 평온하고 고요한 삶은 겉으로는 이상적일지 몰라도, 그 안에는 어떤 진정성도 없다.

책을 덮으며 나는 다짐했다.
비록 현실은 고통스럽고, 기억은 나를 괴롭히기도 하지만, 그 불완전함 속에서 나만의 색을 찾아가야겠다고.

반응형